서울을 수놓을 건축 거장의 새로운 랜드마크,

갤러리

고성연

건축가 이름만으로도 기대를 품게 하는 문화 예술 공간이 3년 뒤 서울 청담동 한복판에 들어선다. 런던의 테이트 모던 미술관, 베이징 올림픽 주 경기장, 도쿄의 아오야마 프라다 빌딩, 홍콩 타이퀀(Tai Kwon) 아트 센터 등 유수 도시의 상징적인 건축 프로젝트를 맡아온 헤어초크 앤드 드 뫼론(HdM) 건축설계사무소가 바로 그 주인공인데, 한국에서 선보일 HdM의 첫 ‘작품’이 2021년에 모습을 드러낼 삼탄 & 송은문화재단의 신사옥이자 새로운 문화예술 공간이다. HdM을 이끄는 스위스 출신의 건축가 듀오로 ‘건축계 노벨상’으로 통하는 프리츠커상 수상자이기도 한 자크 헤어초크(Jaques Herzog)와 피에르 드 뫼론(Pierre de Meuron)이 최근 기공식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으면서 삼탄 & 송은문화재단의 신사옥 조감도가 처음 공개됐다.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존재감을 지닌 랜드마크를 의도했다는 송은 신사옥은 지상 11층(지하 5층) 규모로 ‘숨겨진 소나무’라는 뜻의 송은(松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소나무 결을 입힌 콘크리트 외벽에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독특한 삼각형 형태 등의 요소들이 절로 시선을 잡아끄는 건물이다. 입구 로비에 대형 글라스월을 설치해 특별한 행사가 열리면 로비 공간이 정원으로 이어지게 하는 등 나름의 방식으로 개방성을 풀어냈다. 도산대로 인근에 좋은 건축을 찾아보기 힘들었다고 솔직히 밝히면서 ‘시적 감성’을 녹였다는 송은 신사옥의 차별된 형태와 분위기를 강조한 이 듀오는 “이는 (건축적) 제약에서 비롯된 형태이기에 우리가 만들어낸 게 아니라 ‘발견’한 것이다”라는 인상적인 발언을 남겼다. 계속 읽기

Smart cleansing

갤러리

에디터 권유진

하루가 다르게 차가워지는 건조한 가을바람이 피부에 남긴 건, 하얗게 일어난 각질과 울긋불긋한 피부 톤이다. 피부가 예민해진 시기인 만큼 스킨케어 제품을 바꾸기보단 내 피부에 맞는 꼼꼼하고 스마트한 클렌징으로 트러블을 바로잡을 것. 계속 읽기

아뜰리에 에르메스의 오민 개인전 <연습곡>+ 송은아트스페이스의 그룹전 <델피나 인 송은: 파워플레이>

갤러리

에디터 고성연

올가을, 젊고 역량 있는 작가들의 흥미로운 전시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펼쳐지고 있어 주목된다. 서울 도산공원 근처에 있는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오는 11월 4일까지 열리는 오민 작가의 개인전 <연습곡(E′tude)>, 그리고 오는 12월 1일까지 개최되는 청담동 송은아트스페이스의 그룹전 <델피나 인 송은: 파워플레이(Delfina in SongEun: Power Play)>.  먼저, 오민 작가는 제17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수상자로 올해 초 파리 몽마르트르에 있는 레지던시를 거치면서 이번 전시에 발표할 신작을 선보이게 됐다. 원래 피아노 전공으로 대학 시절 디자인으로 방향을 튼 뒤, 현대미술계에서 촉망받는 작가로 거듭난 오민은 현재 암스테르담에서 거주하면서 음악의 구조를 영상 작업에 대입해 자신만의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나가고 있다. 2개의 싱글 채널 비디오와 5채널 비디오, 라이브 퍼포먼스로 구성된 자신의 전시 작품에 대해 오민은 “연습을 거듭하며 도달할 수 없는 곳을 향해 달리게 하는 동력의 근원에서 ‘불안’의 감각을 마주하게 된다”고 밝혔다. 송은아트스페이스의 전시는 영국 델피나 레지던시와의 협업 프로젝트로 델피나 재단의 에런 시저(Aaron Cezar) 큐레이터와 함께 다국적 10인의 작가가 참여했다. 델피나 레지던시를 하나의 국가로 간주해 선보이는 국가 연계 프로젝트로 유머, 체제 전복, 도발을 통해 다양한 관계 속에서 작용하는 ‘권력’에 대해 조각, 사운드, 영상, 설치, 드로잉 등의 매체를 통해 작가 저마다의 방식으로 풀어냈다.  국내 작가로 김재범, 박보나, 백정기, 안정주, 정소영, 해외 작가로는 란티안 시(Lantian Xie), 셰자드 다우드(Shezad Dawood), 알라 유니스(Ala Younis), 야스메인 피서르(Jasmijn Visser), 오스카 산틸란(Oscar Santillan)이 참여했다. 계속 읽기

Glamorous chic

갤러리

에디터 배미진

(왼쪽부터) 원석 고유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자수정 루미노 네크리스 2백만원대 타사키. 시트린을 품에 안고 있는
팬더 드 까르띠에 네크리스 3천4백만원대 까르띠에. 로즈 골드 소재에 애미시스트, 토파즈, 페리도트, 투르말린,
루벨라이트 등 다양한 유색석을 세팅한 디바스 드림 브레이슬릿 2천3백만원대, 디바스 드림 네크리스, 2천 5백만원 대
모두 불가리. 12mm 남양 흑진주를 다양한 유색석과 함께 불꽃처럼 표현한 파운틴 네크리스 1천만원대 타사키. 계속 읽기

벨 에포크 시대의 낭만을 현대 감성으로, 샴페인 라운지 르 캬바레 도산

갤러리

에디터 고성연

미식 문화가 갈수록 풍요롭고 다채로워지고 있는 요즘,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예술적 낭만이 파리를 수놓은 문화적 황금기를 일컫는 ‘벨 에포크’ 시대의 낭만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듯한 색다른 공간이 등장해 주목된다. 서울 에이든 청담 호텔 18층에 문을 연 샴페인 라운지 ‘르 캬바레 도산(Le Cabaret Dosan)’이다. 벨 에포크 시대에 성인을 위한 미식과 사교의 장이던 카바레 문화를 새롭게 해석했다는 이 라운지는 ‘샴페인 페어링(champagne pairing)’이 미식에서 점점 더 두각을 나타내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시기에 생긴 만큼 참신한 맛과 멋의 앙상블을 추구하는 이들의 눈길을 끌 듯하다. 남산과 한강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시원한 전망을 품은 데다 개폐식 돔형 지붕까지 있어 밤하늘의 운치를 느낄 수 있으며, 시선을 절로 잡아끄는 커다란 샹들리에와 상큼한 꽃으로 가득 찬 샴페인 셀러가 분위기를 북돋우는 인테리어, 감미롭거나 ‘힙한’ 음악 등 샴페인을 곁들인 미식을 세련되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에서 즐기도록 세심히 신경 쓴 흔적이 보인다. 미각을 담당하는 주인공은 프렌치 레스토랑 프렙의 오너 셰프 출신인 이영라 셰프와 소믈리에 양대훈 매니저. 특이하게도, 코스가 아닌 일곱 가지 요리를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한 상 차림’으로 샴페인과 페어링되는데, 절기에 맞는 음식과 최적의 샴페인을 짝지어 셰프가 알아서 내주는 오마카세 방식을 택했다(제철 식재료를 기본으로, 3주마다 메뉴가 바뀐다). 한마디로 ‘프렌치 오마카세 메뉴’인 셈이다. 영업 시간은 평일 오후 6시~새벽 1시, 금·토요일  오후 6시~새벽 2시. 문의 02-6713-6730(오후 5시부터) 계속 읽기